사망 만인율 알아보기 (상시 근로자 수 산정법 포함)
이번 포스트는 사망 만인율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. 사망 만인율이란 사전적 정의에서는 사망자 수의 1만 배를 전체 근로자 수로 나눈 값으로, 사망자 수를 기반으로 (중대) 재해율을 파악하는 데 사용되는 지표 중 하나입니다. 단위는 퍼밀리아드(만분율)이며, 기호로는 0/000로 쓰며 % 뒤에 00이 2개 붙어있습니다. 사망 만인율을 구하기 위한 식은 사망자 수를 전체 임금 근로자 수로 나눈 후 1만을 곱하며, 수식으로 표현하면 아래와 같습니다. 사망 만인율 = (사망자 수 / 임금 근로자 수) x 10,000 여기서 임금 근로자 수가 파악이 어렵다면 상시 근로자 수로 대체가 가능한데 상시 근로자 수는 아래 수식에 의해 결정됩니다. (아래 예시는 건설업을 기준으로 합니다.) 상시 근로자 수 = (연간 국내공사..
학습/안전
2021. 1. 14. 17:11